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별별코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별별코딩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96)
    • 사소한 개발 일기 (3)
    • language (21)
      • java (17)
      • kotlin (4)
      • python (0)
    • backend (17)
      • spring boot (7)
      • jpa (4)
      • server (2)
      • linux (3)
      • 장애대응 (1)
    • database (5)
      • mysql (2)
      • redis (1)
      • mongodb (2)
    • devops (1)
      • docker (1)
    • etc (13)
      • git (8)
      • mac (1)
      • firebase (1)
      • etc (3)
    • error log (19)
    • computer science (2)
      • network (2)
    • algorithm (1)
    • project (9)
      • side project (3)
      • academy (6)
    • Series (5)
      • 자바 플레이그라운드 with TDD, 클린코드 (1)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0)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4)
  • 방명록

backend/jpa (4)
[QueryDsl] Spring Boot 3.0.x 에서 QueryDsl gradle 설정

개발 환경 IDE : IntelliJ Framework : Spring Boot 3.0.5 JDK -version : openjdk 17 Gradle : Groovy 검색하면 많이 나오는 설정들이 대부분 plugin에 querydsl 설정을 추가하는데 Spring Boot 3 버전 이상부터는 plugin에 querydsl 을 사용하면 제대로 작동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plugins에서 제거해주고 dependencies 에만 라이브러리 추가해주세요. build.gradle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plugins 에서 ..

backend/jpa 2023. 4. 5. 23:06
JPA Batch Size : N+1문제 해결법

@BatchSize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지정한 size 만큼 where 조건의 in 절으로 조회한다. 1:N 관계의 Entity 정의 정의 조건 : 1명의 멤버는 여러 개의 주문을 가질 수 있다. Members (1) : Orders (N) * 부모 class : Members @Entity class Members(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50) var email: String,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20) var name: String, )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var id: Long? = null @OneToMany(mappedBy..

backend/jpa 2023. 2. 27. 11:31
N + 1 문제 해결하기 : Fecth Join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MultipleBagFetchException 해결

1 : N 관계에서 Fecth Join 사용시 발생하는 MultipleBagFetchException 해결법 1. ToOne(OneToOne, ManyToOne) 관계를 모두 Fetch Join 한다. 2. 1:N 관계의 Collection Entity는 Lazy Loading(지연 로딩)으로 조회한다. 3. Lazy Loading(지연 로딩) 성능 최적화를 위해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를 적용한다. * QueryDsl 에서도 1:N 관계에서 단 한번의 fetch join 사용해야 하는 건 똑같다. ToOne(OneToOne, ManyToOne) 관계를 모두 Fetch Join 한다. 연관관계에서 자식 테이블인 ToOne 관계에서는 row 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따..

backend/jpa 2022. 12. 18. 04:53
N+1 문제 해결하기 : Join, Fetch Join

N+1 문제 : 조회된 부모의 수만큼 자식 테이블의 쿼리가 추가 발생하는 현상 연관 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 쿼리를 날렸을 때 의도하지 않은 쿼리가 N번 추가로 실행되는 것을 N+1이라고 한다. 해결방법 : FetchJoin * Join, Fetch Join 차이점 Join - 연관 Entity에 Join을 걸어도, 실제 쿼리에서 SELECT 하는 Entity는 오직 JPQL에서 조회하는 주체가 되는 Entity만 조회하여 영속화 - 조회의 주체가 되는 Entity만 SELECT 해서 영속화하기 때문에 데이터는 필요하지 않지만, 연관 Entity가 검색조건에는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됨 Fetch Join - 데이터를 가져올 때 조회의 주체가 되는 Entity 이외에, Fetc..

backend/jpa 2022. 12. 15. 15:46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array
  • 스프링오류
  • Kotlin
  • checkout
  • Git
  • 오블완
  • 배열
  • Cannot construct instance of
  • addFilterBefore
  • jvm warm-up 전략
  • ChatGPT
  • MultipleBagFetchException
  • 티스토리챌린지
  • Spring Security
  • bucket4j
  • junit5
  • QueryDSL
  • n+1
  • MongoDB
  • Java
  • dto 클래스 생성자
  • port
  • FetchJoin
  • spring boot 3
  • JPA
  • 스프링 스케줄링
  • redisson 분산락
  • 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
  • 추상클래스
  • Linux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