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새로운 할인 정책 개발

“새로운 할인 정책을 확장해보자.”

 

👀 기획자 : 서비스 오픈 직전에, 할인 정책을 지금처럼 고정 금액 할인이 아니라 좀 더 합리적인 주문 금액당 할인하는 정률% 할인으로 변경하고 싶어요.
예를들어, 기존 정책은 VIP가 10000원을 주문하든 20000원을 주문하든 항상 1000원을 할인했는데,
이번에 새로 나온 정책은 10%로 지정해두면 고객이 10000원 주문시 1000원을 할인해주고, 20000원 주문시에 2000원 할인해주는 거에요!

 

💻 개발자 : 제가 처음부터 고정 금액 할인은 아니라고 했자나욧!

 

👀 기획자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 몰라요? “계획을 따르기보다 변화에 대응하기를”

 

💻 개발자 : ….(하지만 난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객체지향 설계 원칙을 준수했지 ㅎㅎ)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

 

 

Rate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자

Rate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

 

 

RateDiscountPolicyTest

class RateDiscountPolicyTest {

    Rate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RateDiscountPolicy();

    @Test
    @DisplayName("VIP는 10% 할인이 적용되어야 한다.")
    void vip_o() {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1L, "nameisVIP", Grade.VIP);
        // when
        int discount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10000);
        // then
        Assertions.assertThat(discount).isEqualTo(1000);
    }

    // 안되는 테스트를 만드는 것도 중요함!!
    @Test
    @DisplayName("VIP가 아니면 할인이 적용되지 않아야 한다.")
    void vip_x() {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2L, "nameisBASIC", Grade.BASIC);
        // when
        int discount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10000);
        // then
        Assertions.assertThat(discount).isEqualTo(1000);
    }

}

 

  • 테스트 결과

VIP는 10% 할인이 적용되어야 한다.

→ 통과 !

VIP가 아니면 할인이 적용되지 않아야 한다.

expected: 1000
but was: 0

 

 

 

2. 새로운 할인 정책 적용과 문제점

1) 할인 정책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보자.

할인 정책을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인 OrderServiceImpl 코드를 고쳐야한다.

고정할인 FixDiscountPolicy → 정률할인 RateDiscountPolicy 으로!

 

OrderServiceImpl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회원정보 랑
//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FixDiscountPolicy(); // 고정할인정책 구현체로 생성해서 사용함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RateDiscountPolicy(); // 정률할인정책 구현체로 생성해서 사용함

 

2) 문제점 발견 ?!

  • 우리는 역할과 구현을 충실하게 분리했다. → OK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 다형성도 활용하고, 인터페이스와 구현 객체를 분리했다. → OK
  • OCP, DIP 같은 객체지향 설계원칙을 충실히 준수했다.

 

3) 객체지향 설계원칙을 준수한 거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아니다.

  • DIP : 주문 서비스 클라이언트 OrderServiceImpl 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면서 DIP를 지킨 것 같은데?
    • 클래스 의존관계를 분석해보자. 추상(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구체(구현)클래스에도 의존” 하고 있다.
    • 추상(인터페이스) 의존 : DiscountPolicy
    • 구체(구현) 클래스 : Fix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 OCP : 변경하지 않고 확장할 수 있다고 했는데 !
    • 지금 코드는 기능을 확장해서 변경하면, 클라이언트 코드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OCP를 위반한다.

 

4) 왜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 할까?

✔️ 기대했던 의존관계

지금까지 단순히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한다고 생각했다.

 

 

✔️ 실제 의존관계

클라이언트인 OrderServiceImpl이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FixDiscountPolicy 인 구체 클래스도 함께 의존하고 있다.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new FixDiscountPolicy();

⇒ DIP 위반!!

 

 

✔️ 정책이 변경되면?!

그래서 FixDiscountPolicy 를 RateDiscountPolicy 로 변경하는 순간 OrderServiceImpl 소스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 OCP 위반 !!

 

 

💡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DIP 위반 ⇒ 추상에만 의존하도록 변경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도록 의존관계를 변경하자)

 

 

수정한 OrderServiceImpl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회원정보 랑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final은 무조건 값이 할당되어야 함.

인터페이스만 의존하도록 구현클래스 의존 하던 부분 변경했다.

그런데 구현체가 없는데 어떻게 실행할 수 있을까?

discountPolicy에 아무값도 할당이 안되어 있어서, 테스트 돌리면 당연히 NPE 에러남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구현 클래스 의존하던거 다 지움
    private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final은 무조건 값이 할당되어야 함.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member 찾기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 요기서 에러남

 

 

💡 해결방안

누군가가 클라이언트인 OrderServiceImpl에 DiscountPolicy의 구현 객체를 대신 생성하고 주입해주어야 한다!!

 

 

 

3. 관심사의 분리

1)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공연이라고 생각해보자.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배역이라고 생각하자.

그런데!! 실제 배역에 맞는 배우를 선택하는 것은 누가 하는가?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을 한다고 생각하면

로미오 역할을 누가 할지, 줄리엣 역할을 누가 할지는 배우가 정하는게 아니다.

 

이전 코드는 마치 로미오 역할 (인터페이스)을 하는 디카프리오(구현체, 배우)

줄리엣 역할(인터페이스)을 하는 여자주인공(구현체, 배우)을 직접 초빙하는 것과 같다.

→ 이렇게 되면 디카프리오는 공연도 해야하고, 동시에 여자 주인공도 공연에 직접 초빙해야하는 “다양한 책임” 을 가지게 된다.

 

 

 

2) 따라서 관심사를 분리하자.

  • 배우는 본인의 역할인 배역을 수행하는 것에만 집중해야 한다.
  • 디카프리오는 어떤 여자 주인공이 선택되더라도 똑같이 공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공연을 구성하고, 담당 배우를 섭외하고, 역할에 맞는 배우를 지정하는 책임을 담당하는 별도의 “공연 기획자”가 나올 시점이다.
  • 공연 기획자를 만들고, 배우와 공연 기획자의 책임을 확실히 분리하자.

 

 

3) AppCinfig 등장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방식을 구성(config)하기 위해

  •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 연결하는 책임을 가지는 별도의 설정 클래스를 만들자.
public class AppConfig {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직접 구현체를 지정하던 것을 여기서 하자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 생성자 주입 : 생성자를 통해 객체가 생성된게 들어감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new FixDiscountPolicy());
    }
}
  • AppConfig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동작에 필요한 구현 객체를 생성한다.
    • MemberServiceImpl
    • MemoryMemberRepository
    • OrderServiceImpl
    • FixDiscountPolicy
  • AppCongig는 생성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레퍼런스)를 생성자를 통해서 주입(연결) 한다.
    • MemberServiceImpl ⇒ MemoryMemberRepository
    • OrderServiceImpl ⇒ MemoryMemberRepository, FixDiscountPolicy

참고: 지금은 각 클래스에 생성자가 없어서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바로 생성자를 만든다.

 

 

4) MemberServiceImpl - 생성자 주입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 인터페이스 생성 = 구현객체 선택하기
    // => 구현객체 지정하던거 지우고 추상화에만 의존하기!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void join(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

    @Override
    public Member findMember(Long member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
  • 설계 변경으로 MemberServiceImpl 은 MemoryMemberRepository 를 의존하지 않는다.
  • 단지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만 의존한다.
  • MemberServiceImpl(구현체) 입장에서 생성자를 통해 어떤 구현 객체가 들어올지(주입될지)는 알 수 없다.
  • MemberServiceImpl 의 생성자를 통해서 어떤 구현 객체를 주입할지는 오직 외부 AppConfig 에서 결정된다.
  • MemberServiceImpl 은 이제부터 의존관계에 대한 고민은 외부에 맡기고, 실행에만 집중하면 된다.

 

객체의 생성과 연결은 AppConfig 가 담당한다.

  • DIP 완성 : MemberServiceImpl 은 MemoryRepository 인 추상에만 의존하면 된다. 이제 구체 클래스를 몰라도 된다.
  • 관심사의 분리 :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역할과 실행하는 역할이 명확히 분리되었다.

 

 

5) 회원 객체 인스턴스 다이어그램

  • appConfig 객체는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를 생성하고, 그 참조값을 memberServiceImpl 을 생성하면서 생성자로 전달한다.
  • 클라이언트인 memberServiceImpl 입장에서 보면 의존관계를 마치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 같다고 해서DI(Dependency Injection) 의존관계 주입 또는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

 

6) OrderServiceImpl - 생성자 주입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회원정보 랑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final은 무조건 값이 할당되어야 함.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member 찾기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 최종 할인된 가격에 대한 정보
        // order 는 할인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데 일단 그냥 넣어주기만 하면 됨

        // DiscountPolicy 에만 의존하기 위해 구현 클래스 의존 다 지우고 테스트 하면,
        // discountPolicy 에 아무값도 할당이 안되어 있어서 테스트 돌리면 당연히 NPE 에러남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
  • 설계 변경으로 OrderServiceImpl 은 FixDiscountPolicy 를 의존하지 않는다!
  • 단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만 의존한다.
  • OrderServiceImpl 입장에서 생성자를 통해 어떤 구현 객체가 들어올지 (주입될지) 는 알 수 없다.
  • OrderServiceImpl 의 생성자를 통해서 어떤 구현 객체를 주입할지는 오직 외부 AppConfig 에서 결정한다.
  • OrderServiceImpl 은 이제부터 실행에만 집중하면 된다 !

OrderServiceImpl 에는 MemoryMemberRepository , FixDiscountPolicy 객체의 의존관계가 주입된다.

 

 

💡 정리

  • AppConfig 를 통해서 관심사를 확실하게 분리했다.
  • 배역, 배우를 생각해보자.
  • AppConfig 는 공연 기획자다.
  • AppConfig 는 구체 클래스를 선택한다. 배역에 맞는 담당 배우를 선택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해야할지 전체 구성을 책임진다.
  • 이제 각 배우들은 담당 기능을 실행하는 책임만 지면 된다.
  • OrderServiceImpl 은 기능을 실행하는 책임만 지면 된다.

 

 

 

 

4. AppConfig 리팩터링

현재 AppConfig를 보면 중복이 있고, 역할에 따른 구현이 잘 안보인다.

 

*기대하는 그림

 

  • 리팩터링 전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 생성자 주입 : 생성자를 통해 객체가 생성된게 들어감
        return new Memb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new FixDiscountPolicy());
    }
}

 

 

  • 리팩터링 후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
  • new MemoryMemberRepository() 이 부분이 중복 제거되었다.
  • 이제 MemoryMemberRepository를 다른 구현체로 변경할 때 한 부분만 변경하면 된다.
  • AppConfig 를 보면 역할과 구현 클래스가 한눈에 들어온다. 애플리케이션 전체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 메서드명과 리턴 타입만 보면 역할을 알 수 있다.

 

 

 

5. 새로운 구조와 할인 정책 적용

처음으로 돌아가서 정액 할인 정책을 → 정률% 할인 정책으로 변경해보자.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AppConfig 의 등장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크게 (1)사용 영역과, (2)객체를 생성하고 구성(Configuration) 하는 영역으로 분리되었다.

*사용, 구성의 분리

 

*할인 정책의 변경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로 변경해도 구성 영역만 영향을 받고, 사용 영역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할인 정책 변경 구성 코드

public class AppConfig {

    // 리팩터링 후 : 메서드명과 리턴 타입만 보면 역할을 알 수 있다.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생성자 주입 : 생성자를 통해 객체가 생성된게 들어감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할인 정책에 대해서 변경하고 싶으면 딱 요기만 변경하면 됨!!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
  • AppConfig 에서 할인 정책 역할을 담당하는 구현을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객체로 변경했다.
  • 이제 할인 정책을 변경해도,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역할을 담당하는 AppConfig만 변경하면 된다. 클라이언트 코드인 OrderServiceImpl 를 포함해서 사용 영역의 어떤 코드도 변경할 필요가 없다.
  • 구성 영역은 당연히 변경된다. 구성 역할을 담당하는 AppConfig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공연의 기획자로 생각하자. 공연 기획자는 공연 참여자인 구현 객체들을 모두 알아야 한다.

 

 

 

 

6. 전체 흐름 정리

1) 새로운 할인 정책 개발

다형성 덕분에 새로운 정률 할인 정책 코드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 자체는 아무 문제가 없음

 

 

2) 새로운 할인 정책 적용과 문제점

  • 새로 개발한 정률 할인 정책을 적용하려고 하니, 클라이언트 코드인 주문 서비스 구현체도 함께 변경해야함 → OCP 위반
  • 주문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인터페이스인 DiscountPolicy 뿐만 아니라, 구체 클래스인 FixDiscountPolicy 도 함께 의존 → DIP 위반

 

 

3) 관심사의 분리

  •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공연으로 생각
  • 기존에는 클라이언트가 의존하는 서버 구현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실행함
  • 비유를 하면 기존에는 남자 주인공 배우가 공연도 하고, 동시에 여자 주인공도 직접 초빙하는 다양한 책임을 가지고 있음
  • 공연을 구성하고, 담당 배우를 섭외하고, 지정하는 책임을 담당하는 별도의 공연 기획자가 나올 시점
  • 공연 기획자인 AppConfig 등장
  • AppConfig 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방식을 구성(Config) 하기 위해,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책임
  • 이제부터 클라이언트 객체는 자신의 역할을 실행하는 것만 집중, 권한이 줄어듦 (책임이 명확해짐)

 

 

4) AppConfig 리팩터링

  • 구성 정보에서 역할과 구현을 명확하게 분리
  • 역할이 잘 드러남
  • 중복 제거 (두번 new MemoryMemberRepository 로 생성하던거 한번만 하도록 변경)

 

 

5) 새로운 구조와 할인 정책 적용

  • 정액 할인 정책 → 정률% 할인 정책으로 변경
  • AppConfig 의 등장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크게 “사용 영역” 과, 객체를 생성하고 “구성(Configuration)하는 영역” 으로 분리
  • 할인 정책을 변경해도 AppConfig 가 있는 구성 영역만 변경하면 됨.
  • 사용 영역은 변경할 필요가 없음! 물론 클라이언트 코드인 주문 서비스 코드도 변경하지 않음

 

 

 

7.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의 적용

1) SRP 단일 책임 원칙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클라이언트 객체는 직접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하는 다양한 책임을 가지고 있었음! (너무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었다)
  • SRP 단일 객체 원칙을 따르면서 관심사를 분리하자!
  •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책임음 AppConfig가 담당
  • 클라이언트 객체는 실행하는 책임만 담당하도록 설계 변경

 

 

2) DIP 의존 관계 역전 원칙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

  • 새로운 할인 정책을 개발하고, 적용하려고 하니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했다.
    • 왜냐하면 기존 클라이언트 코드 (OrderServiceImpl)는 DIP를 지키며 DiscountPolicy 추상화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는 것 같았지만, FixDiscountPolicy 구체화 구현 클래스에도 함께 의존했다.
  • 클라이언트 코드가 DiscountPolicy 추상화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도록 코드를 변경했다.
  • 하지만 클라이언트 코드는 인터페이스만으로는 아무것도 실행할 수 없다. (NEP남)
  • AppConfig 가 FixDiscountPolicy 객체 인스턴스를 클라이언트 코드 대신 생성해서 클라이언트 코드에 의존 관계를 주입했다. 이렇게해서 DIP 원칙을 따르면서 문제도 해결했다.

 

 

3) OCP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다형성 사용하고 클라이언트가 DIP를 지킴
  •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영역과 구성 영역으로 나눔
  • AppConfig가 의존관계를 Fix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 로 변경해서 클라이언트 코드에 주입하므로 클라이언트 코드는 변경하지 않아도 됨
  • 소프트웨어 요소를 새롭게 확장해도 사용 영역의 변경은 닫혀있다!

 

 

 

8.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9.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AppConfig 스프링 기반으로 변경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

@Configuration :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담당한다” 는 뜻

 

 

MemberApp

public class Member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 getBean(가지고올 메서드명, 반환타입)

        Member member = new Member(1L, "memberA", Grade.VIP);

        // memberService 에 join 메서드에 생성한 member 를 넣어주면 가입됨
        memberService.join(member); // 회원가입

        // 회원가입 되었는지 확인하기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Member(1L);
        System.out.println("new member = " + member.getName() );
        System.out.println("find member = " +  findMember.getName());
    }
}

 

 

OrderApp

public class Order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OrderService ord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orderService", OrderService.class);

        Long memberId = 1L;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Id, "memberA", Grade.VIP); // VIP 회원 한명 만듦
        memberService.join(member); // memberService 를 통해 member 객체를 메모리에 넣어놓고 디비에서 필요할 때 꺼내쓴다.

        Order order = orderService.createOrder(memberId, "itemA", 10000);

        System.out.println("order = " + order);
        System.out.println("order.calculatePrice = " + order.calculatePrice());
        
        // 출력 결과
        // order = Order{memberId=1, itemName='itemA', itemPrice=10000, discountPrice=1000}
        // order.calculatePrice = 9000
    }
}
> Task :MemberApp.main()
23:51:58.827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 Refreshing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46bcd4
// 내부적으로 필요해서 등록하는 bean
23:51:58.852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nfigurationAnnotationProcessor'
23:51:59.021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g.springframework.context.event.internalEventListenerProcessor'
23:51:59.023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g.springframework.context.event.internalEventListenerFactory'
23:51:59.026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AutowiredAnnotationProcessor'
23:51:59.028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internalCommonAnnotationProcessor'
// 내가 @Bean으로 등록한 것들
23:51:59.035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appConfig'
23:51:59.040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memberService'
23:51:59.081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memberRepository'
23:51:59.085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derService'
23:51:59.089 [main] DEBU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discountPolicy'

 

 

스프링 컨테이너 적용

  •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한다.
  • 기존에는 개발자가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를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정보로 사용한다.
    • 여기서 @Bean 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memberService, orderService , …)
  • 이전에는 개발자가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 기존에는 개발자가 직접 자바 코드로 모든 것을 했다면,
    이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 코드가 약간 더 복잡해진거 같은데,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